l 등반리더 : 이운배, 박성록, 김미숙, 양주종, 신재근
since 창립일 : 1981년 10월 19일 / 홈페이지 2001년 8월 9일 / E-MAIL : sansaram@kormp.co.kr
개요
2005.04.03 18:04

백두대간식 표기

조회 수 9456 추천 수 136 댓글 0

□ 백두대간식 표기
▶ 최초출현

실질적 내용상의 백두대간이 최초로 나타난 문헌은 10세기 초의 고려 승려 도선이 지은 옥룡기(玉龍記)로서 "우리나라는 백두(산)에서 일어나 지리(산)에서 끝났으니 물의 근원, 나무 줄기의 땅이다"라고 표현되어 있습니다.
다음으로 백두대간을 의미하는 대간(大幹) 이라는 용어를 국내에서 최초로 사용한 문헌은 이중환의 [택리지](1751년)로서 "대간은 끊어 지지 않고 옆으로 뻗었으며 남쪽으로 수천리를 내려가 경상도 태백산에까지 통하여 하나의 맥령(脈嶺)을 이루었다" 라고 표현되어 있습니다.
백두대간과 백두정간이라는 말을 처음 사용한 문헌은 이익의 [성호사설](1760년경)로서, 백두산을 우리나라의 조종산이며 대간의 시작 산으로 보았으며 "백두대간(白頭大幹)"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산맥상황도 나름대로 제시하였습니다.
다음으로 백두대간을 체계화한 것은 1770년경(영조) 여암 신경준의 [산경표]로서 백두대간에 대해서 그 용어뿐만 아니라 백두산에서 지리산에 이르는 산맥연결의 상태 · 관계 · 순서를 알기쉽도록 일목요연하게 표로 제시 하였습니다. 다만 산경표의 저자나 제작시기에 대하여 다른 의견도 있습니다. 산림청에서는 ['96 백두대간 연구용역] 결과보고서에 의거 여암의 저서로 추정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여암이 지은 [산수고]에 산경의 내용이 있고 이저술과 거의 동시기에 이루어진 점을 감안하여 신경준이라고 보게 되었습니다).

▶ 표기의 특징

백두산을 어미산(根,母,始), 백두대간을 몸체(幹,身)로 표현하여 백두산과 백두대간을 인체의 母-體로, 나무의 根-幹관계로 보고 있으며 지질구조나 구조선의 방향등 지표하의 지구 내부적 구조와 관계없이 지표상에 나타난 산천(山川)의 모양과 방향을 기초로하여 표기하였습니다. 신경준의 [산경표(山經表)]를 위주로 한 표기의 특징을 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기복은 있으나 단절되지 않은 큰산줄기(大連山脈)
    • 대분수령으로 한반도 北-南走向의 大山脈軸
    • 대간, 정간, 정맥으로 계급화(位階性)
    • 주요 하천의 본류 방향을 기준으로 正脈이름을 붙임.
      (예 : 낙동강동쪽 → 낙동정맥)
    • 분기(分岐)가 이루어 진 곳에 주요 산들이 위치
      (두류산 태백산, 속리산등)
    • 지리산은 백두산의 氣가 흘러(頭流)와 축적된 곳으로 보아 두류산으로  표기하고 중요성을 부여하였습니다.
▶ 백두대간의 산지체계 인식

수계가 연속적인 것과 같이 산계도 연속되어 있음을 강조함으로써 한반도의 지리적 일체감을 인식할 수 있으며 경관측면에서 첨봉이나 능선 및 생활권역의 연결통로로서 주요고개를 중요시하고 고도가 높은 산능선일수록 위계가 높은 기본줄기로 보았습니다.
줄기의 의미로 연결된 선을 설정하고 폭을 가진 띠의 형태인 산지개념 이므로 지질구조, 지형의 형성과정과 변화등은 고려하지 않았으며 인문적인 생활영역을 구분하고 있는 분수계 체계를 중시하며 국토의 일체감 측면에서 백두산과 지리산을 연결하면서 백두산의 상징성을 한반도 전역으로 전파한다고 인식하였습니다.

□ 오늘날 산맥(山脈)식 표기

▶ 산맥식 표기의 출현은
현행 산맥체계는 일본인 지질학자 고또분지로(小藤文次郞)가 1903년 발표한 [한국산악론]에 기초를 두고 있습니다.
그후 1904년, 야쓰쇼에이(失津昌永)가 이를 바탕으로 [한국지리]를 저술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하여 1908년 한국에서 나온 대동서관 편집의 [대한지지교과서(고등소학 대한지지)]에 산맥식 표기가 그대로 채택된 이후 자연스럽게 도입·사용되었습니다.
야쓰쇼에이는 저서 [한국지리]에서 "고또분지로가 1900년부터 약 15개월간 탐험 여행에 의거하여 한국의 산악계통과 지체구조를 밝혀냈으며 1901년 조선남부의 지세, 1902년 조선북부의 지세, 그리고 1903년에는 조선의 산악에 대해서 각각 논문을 발표 하였다"고 기록하였습니다.
따라서 현행 산맥체계에 비해 백두대간 표기는 고려초에 등장한 이후 20세기초까지 약 1,000년간 사용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산맥식 표기의 특징은

- 지질구조선에 의한 산맥체계입니다.
- 지도상에 산맥을 표기하면서 산계(山系)나 산맥(山脈)의 용어를 사용하였습니다. 산맥방향을 3가지로 제시하였습니다(한국방향, 요동방향, 중국방향)
□ 두 방식 표기의 장단점

▶ 백두대간 체계는 지표분수체계에 따라 분류하였고, 현행 산맥체계는 지질구조 체계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 성격과 장단점 구분

구분

백두대간 체계

산 맥 체 계

성격

  • 산과 강에 기초하여 산줄기를 형성
  • 산줄기는 산에서 산으로만 이어짐
  • 실제 지형과 일치하는 자연스러운 선
  • 지하지질구조선에 근거하여 땅위의 산을 분류
  • 산맥선이 중간에 강에 의해 끊어짐
  • 실제지형과 불일치하는 가공된 지질선

장점

  • 경관상 잘 보이는 무단절의 분수령 중심으로 하천, 산줄기등의 파악이 쉬움.
  • 따라서 산지이용계획과 실천에 편리함
  • 풍수지리적 한국지형과 山系의 이해에 편리
  • 국제관행에 부합됨.
  • 산맥형성의 원인과 관련성이 높음.

자료출처 :: 산림청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 구간안내 제 9 구간 :: 추풍령~사기점고개~작점고개~용문산~국수봉~큰재 요들 2005.04.03 9131
18 구간안내 제 8 구간 :: 우두령~바람재~황악산~여시골산~궤방령~가성산~눌의산~추풍령 11 요들 2005.04.03 11922
17 구간안내 제 7 구간 :: 덕산재~부항령~삼도봉~밀목재~화주봉~우두령 24 요들 2005.04.03 12997
16 구간안내 제 6 구간 :: 동엽령~지봉~빼재~삼봉산~소사고개~삼도봉~대덕산~덕산재 37 요들 2005.04.03 13758
15 구간안내 제 5 구간 :: 육십령~할미봉~남덕유산~월성재~삿갓봉~무룡산~동엽령 15 요들 2005.04.03 11729
14 구간안내 제 4 구간 :: 중재~백운산~영취산~민령~깃대봉~육십령 7 요들 2005.04.03 10999
13 구간안내 제 3 구간 :: 여원재 ~ 중재 9 요들 2005.04.03 11502
12 구간안내 제 2 구간 :: 성삼재~만복대~정령치~고기리~수정봉~입망치~여원재 35 요들 2005.04.03 12978
11 구간안내 제 1 구간 :: 중산리~천왕봉~세석~벽소령~화개재~노고단~성삼재 10 요들 2005.04.03 13366
10 구간안내 구간 안내 16 요들 2005.04.03 9538
9 개요 현황자료실 요들 2005.04.03 9160
8 개요 생태자료실 44 요들 2005.04.03 19212
7 개요 성호사설(星湖僿說) 『천지문(天地門)』 35 요들 2005.04.03 12592
6 개요 산경표(山經表) 19 요들 2005.04.03 12724
5 개요 역사자료실 7 요들 2005.04.03 9584
4 개요 백두대간 코스 7 요들 2005.04.03 13718
3 개요 북한의 산지인식 41 file 요들 2005.04.03 62605
» 개요 백두대간식 표기 34 요들 2005.04.03 9456
1 개요 백두대간 개념 29 file 요들 2005.04.03 10964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2 Next ›
/ 2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