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 등반리더 : 이운배, 박성록, 김미숙, 양주종, 신재근
since 창립일 : 1981년 10월 19일 / 홈페이지 2001년 8월 9일 / E-MAIL : sansaram@kormp.co.kr
개요
2005.04.03 18:24

역사자료실

조회 수 9584 추천 수 117 댓글 0
백두대간 명칭사용에 대한 문헌고증을 통하여 용어 변천과정을 분석 정리한 것입니다. < 백두대간 문헌정리 요약 ('96.3월 산림청 발간) >

▶ 산수관(山水觀)

시대별
+ 초  기 : 자연을 우주의 형상으로 인식하고, 산줄기의 형상과 지세를 보고 그속에 흐르는 기를 파악하는 인문지리가 유행하였습니다.
+ 중·후기 :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후 고조된 실학파의 민족정신 함양과 실용주의에 힘입어 자연지리학이 발달하였습니다.
분류기준
+『산(山)』을 중심 체계 :  산경표(山經表)』신경준(申景濬)으로 추정
+『강(江)』을 중심 체계 : 『대동수경(大東水經)』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 전통지리서

성호사설(星湖僿說) - 이익(李瀷)(1681 ∼ 1763)
『천지문(天地門)』편의 제목을 『백두정간(白頭正幹)』이라고 하고 내용중에『백두대간(白頭大幹)』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택리지(擇里地) - 이중환(李重煥)(1690 ∼ ? )
조선산맥(朝鮮山脈), 백두대맥(白頭大脈), 백두남맥(白頭南脈), 대간(大幹) 등의 표현이 있습니다.
산경표(山經表) - 여암(旅庵) 신경준(申景濬)(1712 ∼ 1781)
산줄기와 산의 갈래, 산의 위치를 일목요연하게 나타냈으며 백두대간, 정간 정맥등으로 산줄기의 위계성을 부여하였습니다.
광여도(廣與圖) - 조선후기 지도첩
대간(大幹), 내맥(內脈), 낙맥(落脈) 등의 표현이 보입니다.

<공통점>

+ 산줄기의 흐름이 거의 일치합니다.
   백두산 → 금강산 → 태백·소백산 → 죽령 → 지리산
+ 백두산에서 내리 뻗은 산줄기가 끊어지지 않고 연결되어 있습니다.
+ 산줄기가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지리산에서 끝납니다.
   백두산의 기의 흐름이 지리산에 와서 멎어지므로 지리산을 일명『두류산(頭流山)』이라고도 합니다.

대한지지(大韓地誌)1899년 현 채 저
갑오경장 이후 현대 교육과정의 지리교과서임
백두산은 전국산의 조종(祖宗)으로 지리산에서 끝나며, 이를 정간(正幹)으로 표현됨

대한신지지(大韓新地誌), 1908년 장지연 저
통감부 설치 이후 지리교과서임
산의 흐름은 같으며 "백두산에서 뻗은 백두산맥(白頭山脈)이 지리산에서 끝나니 이를 두류라 한다"고 표현
     ※ 위 2종의 교과서는 통감부의 간섭을 받지 않고 편집된 교과서입니다. 

일본인 지질학자인 동경제국대학 小藤文次郎(고또분지로)가 1903년 東京帝國大學紀要에 발표한『한국산악론(韓國山岳論)』(An Orographic Sketch of Korea)에서 우리나라 지질구조를 바탕으로 산맥을 구분하였습니다.
그후 1904년 矢洋昌永(아쓰쇼에이)가 저술하여 일본동경에서 간행한 『한국지리(韓國地理)』에서도 지질구조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산맥체계를 서술하고 있습니다.
1905년 조선이 통감부 체계로 들어가고 교과서의 내용에도 제재를 받게 됩니다.
초등소학대한지지(初等小學大韓地誌)
 (1905년 통감부 발행 지리교과서) : 산맥으로 표현
조선지지(朝鮮地誌)(1918년 지리교과서) : 산맥으로 표현
     ※ 이로써 조선시대의 전통적인 지리서와는 다르게 산맥체계가 정립된 것입니다.

일제때 사용하던 산맥분류 체계를 그대로 수용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산맥도에는 산맥의 진행방향을 직선으로 나타내지 않고 산맥명칭만을 표기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지리서와 현행 산맥체계와의 차이점
  - 현재의 산맥체계는 『땅 위의 지형』보다는 일본의 지질학자가 조사한 『땅 속의 지질구조』를 바탕으로 산맥을 분류
  - 백두산에서 지리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백두대간)가 이어지지 않고 강 등에 의하여 단절
  - 민족의 영산(靈山)이었던 『백두산』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지 못하고 뭇 산중의 하나로 전락

+ 북한에서는 산맥 대신 『산줄기』라고 표현
+ 북한도 고또분지로의 산맥분류 체계를 수용 사용하고 있으나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임(산맥분류, 산맥이름 등) 그러나 '96년 1월부터 북한은 산맥분류 체계를 재구성
  - 국토의 등뼈를 『백두대산줄기』라고 표현하고 줄기는 백두 대간의 흐름과 비슷함
  - 일제의 잔재 청산의 일환으로 산맥분류를 새롭게 했다고 함

1910년 조선광문회에서
+ 빼았긴 국토와 역사의 줄기를 되찾으려는 방법의 하나로 조선 구래(舊來)의 문헌·도서 중 중대하고 긴요한 자료를 수집하여 『 택리지(擇里地)』,『도리표(道里表)』편찬한데 이어
+ 1913년『산경표』를 간행하였으며, 산경표는 우리나라 산의 줄기와 갈래를 제대로 나타낸 책으로 평가
+ 조선광문회에서 『산경표』를 활자본으로 간행하여 보급하였으나 식민지 기간 동안 일본인이 명명한 산맥체계가 확고하게 자리잡으면서 조선시대의 전통지리서는 사실상 단절

자료출처 :: 산림청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 구간안내 제 9 구간 :: 추풍령~사기점고개~작점고개~용문산~국수봉~큰재 요들 2005.04.03 9131
18 구간안내 제 8 구간 :: 우두령~바람재~황악산~여시골산~궤방령~가성산~눌의산~추풍령 11 요들 2005.04.03 11922
17 구간안내 제 7 구간 :: 덕산재~부항령~삼도봉~밀목재~화주봉~우두령 24 요들 2005.04.03 12997
16 구간안내 제 6 구간 :: 동엽령~지봉~빼재~삼봉산~소사고개~삼도봉~대덕산~덕산재 37 요들 2005.04.03 13758
15 구간안내 제 5 구간 :: 육십령~할미봉~남덕유산~월성재~삿갓봉~무룡산~동엽령 15 요들 2005.04.03 11729
14 구간안내 제 4 구간 :: 중재~백운산~영취산~민령~깃대봉~육십령 7 요들 2005.04.03 10999
13 구간안내 제 3 구간 :: 여원재 ~ 중재 9 요들 2005.04.03 11502
12 구간안내 제 2 구간 :: 성삼재~만복대~정령치~고기리~수정봉~입망치~여원재 35 요들 2005.04.03 12979
11 구간안내 제 1 구간 :: 중산리~천왕봉~세석~벽소령~화개재~노고단~성삼재 10 요들 2005.04.03 13366
10 구간안내 구간 안내 16 요들 2005.04.03 9538
9 개요 현황자료실 요들 2005.04.03 9160
8 개요 생태자료실 44 요들 2005.04.03 19212
7 개요 성호사설(星湖僿說) 『천지문(天地門)』 35 요들 2005.04.03 12592
6 개요 산경표(山經表) 19 요들 2005.04.03 12724
» 개요 역사자료실 7 요들 2005.04.03 9584
4 개요 백두대간 코스 7 요들 2005.04.03 13718
3 개요 북한의 산지인식 41 file 요들 2005.04.03 62611
2 개요 백두대간식 표기 34 요들 2005.04.03 9456
1 개요 백두대간 개념 29 file 요들 2005.04.03 10964
목록
Board Pagination ‹ Prev 1 2 Next ›
/ 2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